-
맥북 초기 세팅 개발자 (리눅스 파일 편집)개발 2023. 3. 29. 14:32
1. 내 명령어 만들기
2. CPU 모니터링
3. Java 설치
4. Tree 설치
내 명령어 만들기
1. 터미널 명령어로 개발 폴더 접근
터미널 실행 시 자동 명령어 설정
<결과>
2. 경로 이동 명령어 등록
develop 를 입력했을 때 원하는 경로로 바로 갈 수 있도록 단축어로 설정
.zshrc 파일을 수정한다.
(develop 폴더는 임의로 만든 것) 파일 맨 아래로 이동해서 수정할 내용들을 기입한다.(Page Down)
1) o
(명령어 o: 다음줄로 커서를 옮긴 후 편집 시작, i: 현재 커서에서 편집 시작)
2) 작성
alias develop="cd Documents/develop"
3) esc
(esc: 작성 종료)
4) :wq
(':': 명령어 시작, w: 저장, q: 종료)
변경 사항을 적용한다.
source ~/.zshrc
수정한 파일을 적용한다.
develop 명령어 입력 시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절대 경로로 바꿔야겠다.
2. 내 CPU 상태 보기
맥북 사용하다보면 가끔... 종종... 윙윙 비행기 이륙소리가 발생하곤한다.
그럼 대체 뭘했다고 이렇게 썽을 내는지 의문이 생기는 순간
그렇다면 무료 툴을 써서 이쁘게 모니터링해보자
https://github.com/exelban/stats
GitHub - exelban/stats: macOS system monitor in your menu bar
macOS system monitor in your menu bar. Contribute to exelban/stat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이거 git 받아야하나 싶다가 읽어보면 그냥 이렇다하는것이다.
읽어보면 brew 를 통해 받을 수 있다고 나온다.
$ brew install stat
(enter 하면 호로록 받아진다.)
끝났다는 문구가 뜨면
우린 Application 폴더로 간다.
쨘-
실행시키면
너 부팅에서 자동으로 할래? 보고싶을 때마다 너가 실행할래?
알림창이 하나 뜨고~
그 다음 설정은 recommend로 완료
그럼 맥북 상단에
아름답게 뜬다.
3. Java 설치
당연한줄 알았던 java 가 없다.
우선 brew upgrade 를 해준다(upgrade 에 update가 포함되어있음)
brew install open~(자신이 받고싶은 버전을 선택)
저
주르륵 받다가
이런 안내와 함께 설치 완료.
난 링크만 걸어두었다.
(sudo ln -sfn ...)
다시 버전 확인
(Formulae/casks 차이)
4. Tree 설치로 파일 구조 파악하기
또한 brew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.
$ brew install tree
$ tree [폴더]
그럼 해당 폴더의 하위 구조까지 보여준다. 폴더 설정을 안 할 경우 그 디렉토리 안에 있는 모든 폴더의 구조를 보여줌
'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ac에서 docker-compose로 maria replication (master slave) 설정하기 (0) 2023.04.10 mac 에서 mariaDB 설치 (docker) (1) 2023.04.03 Python, Django 간단한 서비스 기능 만들기: 게시판 만들기 (0) 2023.03.28 Python, Django 간단한 서비스 기능 만들기: 앱 만들기 (0) 2023.03.28 Python, Django 간단한 서비스 기능 만들기 (a-z) 가상 환경 (0) 2023.03.28